의사코드란?
Pseudo code
: 실제 코딩을 하기전에 코딩의 흐름을 일반언어로 정리해보는 것이다.
슈도(Pseudo)는
가짜, 유사한 이라는 의미의 영어이다.
사용이유? (장점)
- 실제 코드 작성전에 알고리즘을 정리할 수 있다.
- 미리 오류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 다른사람들과 프로그램의 흐름에 대해서 소통하기 위해서 활용한다.
- → 프로그래머가 아닌 사람에게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유용하다
작성법
작성법이 사람마다 다르기때문에 보편적인 방향을 적는다.
→ 개별적으로 규칙을 만들어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블로그 규칙
1. 자신만의 일정한 규칙 만들기
2. 알고리즘 목표를 명시하고 시작하기
3. 한 줄의 하나의 행동만 적기, 위에서 아래 순서로 적기
4. Indent를 명확히 하기
5. 키워드를 명확히 하기
실제 적용 코드
#프로그래머스 #짝수의합
의사코드
- 임의의 정수 n이하의 짝수를 모두 더하시오 (0 < n ≤ 1000)
- [반복문] 임의의 숫자 i % 2 == 0 인 경우 그 수를 result에 더하고
- [반복문] 아닐 경우 다음 수로 넘어가면서 i가 n보다 작을때까지 반복한다
- 나온 결과값이 result가 된다.
실제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int answer = 0;
for(int i=0; i<=n; i++){
if(i %2 ==0)
answer += i;
}
return answer;
}
}
소감
생각하면서 바로 코드를 짤때는 한번 어긋나면 어느 부분이 오류인지 찾는 게 더 오래걸렸는데, 의사코드를 작성해서 코드를 짜니까 의사코드의 몇번째를 구현하지 못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바로 알 수 있어서 구현이 더 쉬운 것 같다.
사실 너무 쉬운 코드를 짜는데 적용해서 많은 실감은 안나는데, 작은 코드를 짤때부터 하나하나 적용해나가면서 나중에는 의사코드를 적지 않아도 머릿속에서 자동으로 알고리즘 순서를 짜고 코드를 짤 수 있는 그 날까지 계속해서 의사코드를 사용한다면 좋을 것 같다!
Refs
'이건 알아야지's > 오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코드, 구글 코랩 PDF로 저장하기 (2) | 2024.11.09 |
---|---|
[TIL] Git - reset 과 revert (0) | 2023.06.23 |
[이클립스] 전체 검색 시 FileSearch를 기본으로 설정하기 (0) | 2022.12.20 |
다운로드 sb로 읽기 코드 (1) | 2021.08.11 |
CircleImageView 라이브러리 (0) | 2021.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