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오류해결11 [시스템프로그래밍] Visual Studio 2022 어셈블리어 개발환경 만들기 오류 발생 상황 학점은행제에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강의를 듣다가 어셈블리어를 설치하는 시간이 있었는데, 아무래도 인터넷 강의로 진행되다보니 내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오류를 강사가 해결해주지는 못했다. 그래서 설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나도 콘솔창 보고싶다.... 잠들고싶다... [문제 1] Visual Studio 2015가 설치가 안됐다 강의에서 다운받아서 사용하라고 준 파일은 2015버전이었는데 나는 기존에 2022 버전을 다운받아서 사용하고 있었다. 근데 그냥 2015 설치하면 알아서 다운그레이드 해주는거라고 생각해서 그냥 다운받으려고 했다. But it is... 해당 창이 뜨면서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 음 안되나보다~~ 그냥 2022에서 만들어보자 하고 시작함 개발환경 만.. 2022. 11. 12. [안드로이드 with 이클립스] Call requires API level 9 (current min is 8) 오류를 해결한 것이 아니라서 오류해결 썸네일은 사용하지 않았다....👀 🤔 오류 발생 이클립스로 개발을 하던 도중 오류가 발생했다. 해당 오류는 해당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xx버전의 API 레벨이 필요하다는 오류이다. 대략 10년 전에 올라온 stack overflow의 글을 보면 AndroidManifest.xml 파일에서 minSdkVersion을 변경하라고 나와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1789275/android-call-requires-api-level-9-current-min-is-8-android-os-strictmodese android - Call requires API level 9 (current min is 8): android.. 2022. 8. 26. [Android Studio] Window.FEATURE_NO_TITLE 적용 안 됨 개발 중에 팝업창을 만들어서 적용할 일이 있었다 착착 잘 만들어지는 와중에 오류가 있었는데 바로 Activity의 Title Bar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 적용되고 있었던 것 기존코드 기존에는 dialog처럼 띄워주려고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하고 있었다. Theme는 한 개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Dialog로 설정하고 PopupActivity에서 이렇게 적용을 했었는데 title이 사라지지않고 계속 보이는 오류가 발생했다.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requestWindowFeature(Window.FEATURE_NO_TITLE); setCont.. 2022. 7. 6. [Android with 이클립스] the file dx.jar was not loaded from the SDK folder! 안드로이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돌리자 😢 당연한 말이지만... 회사업무가 이전 버전 유지보수라면 어쩔 수 없이 이클립스에서 안드로이드를 돌릴 수 밖에 없게된다. (어떻게 알았냐구요...? 저도 알고싶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12버전 범블비가 나왔는데... 흠흠) 여러번 구글링 했는데도 해결법이 다 예전 버전이어서 (프로젝트 경로의 project.properties에 버전 추가하기 등등 ) 결국 내 프로젝트에서는 해결이 되지 않아서 시간 날리겠구나 하고 있었는 데 구글보다 네이버에서 해결법을 찾을 수 있었다. 📌 리빙포인트 구글링만 너무 믿지말고 네이버에도 검색을 해보자 😎 : https://blog.naver.com/ivory82/221329838834 [이클립스] the file dx.jar w.. 2022. 3. 10. [Github] Commit 이전 버전으로 돌아가기 - Git reset 지난 7월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전으로 돌아가고싶은적이 많았는데, 방법을 몰라서 못 돌아가다가 며칠 전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git bash를 이용해서 돌아가는 법을 알려주셨다. 다음 프로젝트때도 써야할 수도 있으니까 글로써 남겨보려고 한다. 1. 빈 폴더를 하나 만든다 깃허브에서 받아올 때 파일이 비어있어야해서 그런 것 같다 2. 마우스 우클릭해서 Git Bash Here을 누른다 3. 복제하려는 프로젝트의 URL을 복사한다 code를 누르고 HTTPS주소를 복사한다. 3. Git Bash 에서 복제 코드를 입력해준다 Crtl+C 누르면 안되고 마우스로 Paste를 눌러준다. $ git clone https://github.com/codingspecialist/Android-Blog.git 코드를 적.. 2021. 8. 19. [CMD] netstat 명령문 안될 때 지난 게시글에서 우리는 이미 사용 중인 서버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netstat 오류에 대해서 확인해봤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바로 그 netstat 명령문이 안 먹히는 경우에 대해서 확인해보려고 한다. 문제의 원인은 아주 간단하다. netstat을 실행시키는 실행위치가 잘못되어있기 때문이다. 지금 위 사진에서는 처음 켰을때 나오는 경로인 C:\User\Admin>에서 명령문을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netstat은 해당 위치에서 실행시키는 것이 아닌 명령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실행위치를 바꿔서 실행해준다. (사실 원래 그냥 쳤던 것 같은데 노트북 바꾸고 나서는 이렇게 바꿔줘야 실행이 된다.) C:\Users\Admin>cd .. C:\Users>cd .. C:\>cd Windows C:\Windows>c.. 2021. 6. 25. [CMD] already in use 오류 해결하기 프로젝트를 진행시키다 보면 주로 (8000, 9005) port already in use라는 구문을 만나게 된다. 해당 구문은 말 그대로 사용하려는 서버가 이미 구동 중일 경우에 나오게 되는데 STS에서 여러 프로젝트들을 run on server 하고 서버를 안 껐을 때 주로 나타난다. 내가 지금 어느 프로젝트를 안껐는지 하나하나 눌러서 서버를 꺼도 되지만 도무지 찾을 수 없을 때는 cmd에서 서버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1. 구동 중인 서버 확인하기 cmd 창을 열어서 netstat -ano를 친다. netstat은 network statistics의 줄임말로 여러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이다. netstat -a 명령은 모든 소켓의 상태를 표시한다 netstat -ao .. 2021. 6. 25. [VS code_React] yarn start 안될 때 yarn start는 안되고 npm start는 된다? > 이 글을 읽으세요 급한 사람들은 2번부터 읽으세요^,~ react를 배우면서 화면에 띄우기 위해서 실행 구문을 사용할 텐데, yarn이 최신버전이고 바로바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주로 사용한다는 글을 남긴 적이 있다. 그런데 yarn start가 안먹히는 상황이 발생했다. 검색하면 이렇게 실행할 수 없는 파일이라는 오류가 나오는 것. 그런데 npm start는 먹힌다. 그러면 그냥 npm start해서 적용해야겠다 생각하지만 npm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이전 버전을 삭제해야 하는 귀찮음이 있기 때문에 되도록 yarn을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그럼 이제 yarn을 적용시켜보도록 하겠다. 1. 가장 먼저 yarn이 설치되어있는지를 확인해봐야.. 2021. 6. 25. [JSP]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오류해결하기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오류는 코드를 짜면서 가장 많이볼 수 있는 오류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 오류는 사람마다 다 다른 이유로 발생하는데, 원인은 코드를 짤때 철자를 틀리거나 "를 안붙이거나 했을때 나는 오류이기 때문이다. 거의 하루한 번 오류를 보는 것 같은데 모든 오류는 제일 윗줄로 올라가서 : 이 다음 부분, 그리고 as 부분에서 뒤에 apache나 javax오류 말고 내 주소의 오류만 확인하면 해결된다. *주의* 할 점은 이 오류가 났을때 검색해봐도 본인의 상태와는 다른 오류이기때문에 정답을 찾을 수가 없고, 진짜 사소한 오타로도 오류가 나기때문에 내가 봐도 잘 모르겠다는 점인데 이럴때는 잠시 쉬었다가 다시 오타를 찾아보고.. 그래도 안된다면 새로 적은 코드들을 삭.. 2021. 5. 27. [STS] war파일 import시 superclass 오류 해결하기 노트북에서 하던 프로젝트를 다른 PC에서 잘 import를 했는데 하자마자 오만데에 빨간줄이 발생했습니다. 수정하려고 커서를 대봤더니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was not found... 오류라고 나왔다. 내가 superclass를 건드린 적이 없는데 말이되나 싶었다. 그리고 프로젝트 익스플로러를 확인해보니 거의 모든 파일이 빨간 오류창으로 가득차게 되었다. 파일을 하나씩 다 눌러서 수정해야한다고 생각하니 눈앞이 캄캄해졌는데 검색해보니 문제점은 바로 서버가 runtime에서 설정되어있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였다. >>오류 해결하기 방법: 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 project facets > runtimes 설정하고 Apply하기 1.. 2021. 5.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