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0회

by 하루디 2022. 4. 30.

수제비 final 실전 모의고사 10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01. 애드 혹 네트워크 (Ad-hoc Network)

: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로만 이루어진 통신망으로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이동 노드는 호스트가 아니라 하나의 라우터로 동작하게 되며,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반구조 없이 동작하는 네트워크이다.

 

02. DLP (Data Loss Prevention)

: 조직 내부의 중요 자료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시스템으로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정보의 흐름에 대한 모니터링과 실시간 차단기능을 제공한다. 

 

* DRM(Data Right Management)

: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리정보를 지정하고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의 허가된 범위 내에서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통제하는 기술 및 시스템

 

04. 비대칭 키 암호화 알고리즘

알고리즘 설명
RSA 1997년 3명의 MIT 수학 교수가 고안한 큰 인수의 곱을 소인수분해하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ECC 1985년 코블리치가 밀러와 RSA 암호화 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청므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유한체 위에서 정의된 타원곡선 군에서의 이산대수 문제에 기초한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EIGamal 1984년에 제안한 공개키 알고리즘으로 이산대수의 계산이 어려운 문제를 기본 원리로 하고 있으며, RSA와 유사하게 전자서명과 데이터 암/복호화에 함께 이용 가능 

 

05. 가상화 기술

기술 설명
도커 하이퍼바이저 없이 리눅스 컨테이너 기술을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격리된 상태에서 실행하는 가상화 솔루션
하이퍼바이저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 상에서 동시에 다수의 운영체제를 구동시킬 수 있는 HW와 OS사이의 SW 가상화 플랫폼이다. 

 

06. 보안

용어  설명
이블 트윈 공격 무선 Wifi 피싱 기법으로 공격자는 합법적인 Wifi 제공자처럼 행세하며 노트북이나 휴대 전화로 핫스팟에 연결한 무선 사용자들의 정보를 탈취하는 무선 네트워크 공격 기법
난독화 코드의 가독성을 낮춰 역공학에 대비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코드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변경하는 기법, 난독화를 적용하는 범위에 따라 소스 코드 난독화의 바이너리 난독화로 나눔 
랜섬웨어 악성 코드의 한 종류로 감염된 시스템의 파일들(문서, 사진, 동영상)을 암호화하여 복호화할 수 없도록 하고, 피해자로 하여금 암호화된 파일을 인질처럼 잡고 몸값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현금이나 비트코인 등을 받고 복호화해주는 범죄행위에 이용되고 있음 
사이버 킬체인 록히드 마틴의 사이버 킬체인은 공격형 방위 시스템으로 지능적, 지속적 사이버 공격에 대해 7단계 프로세스별 공격 분석 및 대응을 체계화한 APT 공격 방어 분석 모델이다 

 

07 벨-라파둘라 모델

:  접근통제 보호 모델 중 기밀성을 강조하고, 보안수준이 낮은 주체는 보안수준이 높은 객체를 읽어서는 안되며, 보안수준이 높은 주체는 보안 수준인 낮은 객체에 기록하면 안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는 모델

 

08. 데이터베이스 장애의 유형

유형 설명
실행 장애 데이터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연산 실패
트랜잭션 장애 트랜잭션 내의 오류 or 내부 조건 (입력 데이터의 불량, 데이터의 불명, 시스템 자원 과다 사용 요구)
시스템 장애 하드웨어 오동작으로, 메인 메모리에 있는 정보손실 or 교착 => 메모리
미디어 장애  디스크 헤드 붕괴 or 저장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손상 => 저장장치 

 

09. 디스패치

: 프로세스 상태 전이 시, 준비 상태에 있는 여러 프로세스 중 실행될 프로세스를 선정하여 CPU를 할당하는 동작 

 

10. 문맥 교환

: CPU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문맥 상태를 프로세스 제어블록에 저장하고, 다음 프로세스의 문맥을 PCB로부터 복원하는 작업

 

11. 소프트웨어 공학의 원칙

법칙 설명
브룩스의 법칙 지체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인력을 추가하는 것은 개발을 늦출 뿐이다 
파레토 법칙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난다. (결함 집중의 원리)
롱테일 법칙 사소해보이는 80%의 다수가 소수의 20% 핵심보다도 뛰어난 가치를 창출한다
(파레토 법칙의 반대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