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제비 Final 모의고사 11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01. 메타 데이터
: 자료 그 자체가 아닌 자료의 속성 등을 설명하는 데이터로 데이터에 관한 정보의 기술, 데이터 구성의 정의, 데이터 분류 등을 위한 데이터이다.
02. NetBIOS
: 통신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응용계층(7계층)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API를 제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03. 보안공격
구분 | 설명 |
웜 (Worm) | 스스로를 복제하여 네트워크 등의 연결을 통하여 전파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와 비슷하지만, 바이러스가 다른 실행 프로그램에 기생하여 실행되는데 반해 웜은 독자적으로 실행되며 다른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다 |
악성 봇 (Malicious Bot) | 스스로 실행되지 못하고, 해커의 명령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 또는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 혹은 코드로 주로 취약점이나 백도어 등을 이용하여 전파되며, 스팸 메일 전송이나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등에 악용된다. |
04. 윈도 함수
: OLAP 함수라고도 하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온라인 분석 처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표준 SQL에 추가된 함수이다.
05. DRS (Disaster Recovery System)
재해 복구 시스템
유형 | 설명 |
Mirror Site | 주 센터와 데이터복구센터 모두 운영 상태로 실시간 동시 서비스가 가능한 재해복구센터 재해 발생 시 복구까지의 소요시간은 (이론적으로 0 ) 즉시이다. |
Hot Site | 주 센터와 동일한 수준의 자원을 대기 상태로 원격지에 보유하면서 동기, 비동기 방식의 미러링을 통하여 데이터의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재해복구센터 재해 발생 시 복구까지의 소요시간은 4시간 이내이다. |
Warm Site | Hot Site와 유사하나 재해복구센터에 주 센터와 동일한 수준의 자원을 보유하는 대신 중요성이 높은 자원만 부분적으로 재해복구센터에 보유하고 있는 센터 데이터 백업 주기가 수시간 ~1일 재해발생시 복구까지의 소요시간은 수 일~ 수 주 |
Cold Site | 데이터만 원격지에 보관하고, 재해 시 데이터를 근간으로 필요 자원을 조달하여 복구할 수 있는 재해 센터 재해 발생시 복구까지의 소요시간은 수주~ 수개월 구축 비용이 저렴하나 복구 소요시간이 길고 신뢰성이 낮음 |
06. 배치 (Batch)
: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없이 일련의 작업들을 작업 단위로 묶어 정기적으로 반복 수행하거나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07.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프로토콜 | 설명 |
IP | 송수신 간의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통신 규약 |
ARP | IP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RARP (Reverse ARP) | IP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워크 주소 (MAC)는 알지만 IP주소는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
ICMP | IP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메시지 형식은 8바이트의 헤더와 가변 길이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리 수신지 도달 불가 메시지는 수신지 또는 서비스에 도달할 수 없는 호스트를 통지하는 데 사용 ICM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Ping 유틸리티 구현 |
IGMP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
호스트 컴퓨터와 인접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쉽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화상회의, IPTV등에서 활용되는 프로토콜 IGMP의 기능에는 그룹가입, 멤버십 감시, 멤버십 응답, 멤버십 탈퇴가 있음 |
라우팅 프로토콜 |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RIP, OSPF가 대표적이고,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EGP, BGF가 대표적이다 |
08. VTL (Virtual Tape Library)
: 대용량 백업 및 데이터 소산에 강점이 있는 테이프 방식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서 디스크를 가상의 테이프 미디어로 모방하는 방식
09. 가상화 백업
: 하이퍼바이저에서 관리되는 가상 서버VM의 이미지 파일을 백업하는 방식으로 백업 환경을 백업 에이전트 중심의 가상화 서버 또는 프록시 서버 레벨에서 SW와 HW를 일체형으로 통합 구축하는 방식
10. 빅데이터 수집 기술
수집기술 | 설명 |
척와(Chukwa) | 비정형 데이터 수집기술로 분산된 각 서버에서 에이전트를 실행하고, 컬렉터가 에이전트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HDFS에 저장하는 기술 |
스쿱(Sqoop) | 정형 데이터 수집기술로 커넥터를 사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HDFS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 |
'STUDY > [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3회 (0) | 2022.05.01 |
---|---|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2회 (0) | 2022.04.30 |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0회 (0) | 2022.04.30 |
[용어 정리] 기출 모의고사(20년 4회, 21년 1회) (0) | 2022.04.28 |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9회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