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제비 final 모의고사 14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01.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유형 | 설명 |
MOLAP (Multi-dimensional) |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다차원적인 분서을 하도록 만들어진 OLAP구현 방식의 시스템으로 데이터베이스가 물리적으로 여러개의 차원을 갖고, 이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각각의 차원 축들에 대한 값을 지정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대용량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은 반면에 셀 단위의 데이터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
HOLAP (Hybrid) |
데이터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다차원 데이터베이스 둘 모두에 저장하고, 요구되는 처리 형태에 가장 잘 맞는 것을 사용하는 방식의 시스템으로 ROLAP의 대용량 데이터 저장능력과 OLAP의 뛰어난 처리능력을 결합하기 위해 개발됨 |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
기업의 고객 데이터 및 판매 데이터를 축적한 데이터베이스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 하는 시스템 |
ROLAP (Relational) |
기업의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 OLAP 시스템 형태의 하나로 서버 측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검색/ 집계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서 다차원 데이터로 구성하고 시각화하는 시스템 |
02. 스턱스넷 (Stuxnet)
- 독일 지멘스 사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에 침투하여 시스템을 마비하게 하는 악성코드이다.
- 원자력 발전소와 송/배전망, 화학공장, 송유/가스관 과 같은 산업기반 시설에 사용되는 제어시스템에 침투하여 오동작을 유도하는 명령코드를 입력해서 시스템을 마비시킨다.
03. 오픈 플로우(Openflow)
: 네트워크 장치의 컨트롤 플레인과 데이터 플레인 간의 연계 및 제어를 담당하는 개방형 표준 인터페이스
04. 고가용성 유형
유형 | 설명 |
Hot Standby (상시 대기 방식) |
가동시스템과 백업시스템으로 구성되어서, 평상시에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장애시 전환하는 방식 |
Mutual Take-Over (상호 인수) |
2개 시스템이 각각의 고유한 가동 업무 서비스를 수행하다가 한 서버 장애 발생 시 상대 시스템의 자원을 페일 오버하여 동시에 두개의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 |
Concurrent Access (동시적 접근) |
여러 개의 시스템이 동시에 업무를 나누어 병렬처리하는 방식으로 HA에 참여하는 시스템 전체가 액티브 한 상태로 업무를 수행하여 시스템 장애 시에도 다른 시스템으로 페일오버(Fail Over)하지 않고 가용성을 보장하는 방식 |
05.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
세부 활동 | 설명 |
페르소나 정의 | 잠재적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과 관찰된 행동패턴을 응집시켜 놓은 가상의 사용자를 정의 |
콘셉트 모델 정의 | 여러 가지 추상적인 콘셉트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을 정의 |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 | 리서치 및 페르소나 결과물을 토대로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우선 순위를 정함 |
UI 컨셉션 | 정리된 요구사항을 구체화하는 단계로 화면 디자인 단계 전에 대표 화면 설계를 진행하는 단계 |
06. 대칭 키 알고리즘
알고리즘 | 설명 |
SEED | 1999년 국내 한국 인터넷 진흥원이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128bit 비밀키로부터 생성된 16개 64bit 라운드 키를 사용하여 총 16회의 라운드를 거쳐 128bit의 평문 블록을 128bit 암호문 블록으로 암호화하여 출력하는 방식 |
AES | 2001년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서 발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블록 크기는 128bit이며, 키 길이에 따라 128bit, 192bit, 256bit로 분류되고, 라운드 수는 10, 12, 14 라운드로 분류되며, 한 라운드는 SubBytes, ShiftRows, MixColumns, AddRoundKey의 4가지 계층으로 구성 |
07. 클래스다이어그램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 설명 |
클래스 Class |
공통의 속성, 연산(메서드), 관계, 의미를 공유하는 객체들의 집합 |
속성 Attribute |
클래스의 구조적 특성에 이름을 붙인 것으로 특성에 해당하는 인스턴스가 보유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기술 |
연산, 메서드 | 이름, 타입, 매개변수들과 연관된 행위를 호출하는 데 요구되는 제약사항들을 명시하는 클래스의 행위적 특징 객체에 요청하여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서비스 |
접근 제어자 Access Modifier |
클래스에 접근할 수 있는 정도를 표현 -(private) : 클래스 내부 접근만 허용 +(public) : 클래스 외부 접근을 허용 #(protected) : 동일 패키지/ 파생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default) : 동일 패키지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
08. 프로세스
: 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즉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말한다
09. 스레드
: 프로세스보다 가벼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순차적인 제어의 흐름이며, 실행 단위임
'STUDY > [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6회 (0) | 2022.05.01 |
---|---|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5회 (0) | 2022.05.01 |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3회 (0) | 2022.05.01 |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2회 (0) | 2022.04.30 |
[용어 정리] 실전 모의고사 11회 (0) | 2022.04.30 |